Funciton, 함수
파이썬은 강력한 프로그래밍 언어로서 함수(function)라는 핵심 도구를 제공합니다.
함수는 코드의 재사용과 모듈화를 가능하게 하여 개발자들에게 많은 이점을 제공합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파이썬 함수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고, 그 사용법과 장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함수의 개념.
함수는 입력을 받아서 어떤 일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반환하는 코드의 블록입니다.
함수는 코드를 논리적인 단위로 분할하여 작성하고,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여줍니다.
함수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는 독립적인 기능 단위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2. 함수의 정의.
파이썬에서 함수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def"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함수의 이름과 매개변수를 정의한 후에는 콜론(:)을 붙이고 들여쓰기로 함수의 내용을 작성합니다.
아래는 간단한 함수의 예시입니다.

3. 함수의 매개변수.
매개변수(Parameter)
매개변수는 함수 정의에서 사용되는 변수입니다.
함수가 호출될 때 전달되는 값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합니다.
매개변수는 함수 내에서 해당 값을 참조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함수를 정의할 때 매개변수를 선언하여 함수에 필요한 입력값의 개수와 종류를 명시합니다.
매개변수는 함수 내에서 변수로서 사용되며, 매개변수 이름은 개발자가 임의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은 `greet` 함수의 매개변수로 `name`을 가지는 예시입니다.
def greet(name):
print("Hello, " + name + "!")
위의 예시에서 `name`은 함수 `greet`의 매개변수입니다.
이 함수를 호출할 때 인자로 전달된 값을 `name` 매개변수가 받게 됩니다.
인자(Argument)
인자는 함수를 호출할 때 실제로 전달되는 값입니다.
인자는 함수 호출 시 매개변수에 전달되어 함수 내에서 사용됩니다.
함수 호출 시에 인자는 매개변수에 대응하여 전달되어야 합니다.
인자의 개수와 자료형은 함수의 매개변수와 일치해야 합니다.
다음은 `greet` 함수를 호출할 때 인자로 "Alice"를 전달하는 예시입니다.
greet("Alice")
위의 예시에서 "Alice"는 함수 `greet`의 인자입니다.
이 값이 함수의 매개변수 `name`에 전달되어 "Hello, Alice!"라는 결과가 출력됩니다.
요약하자면, 매개변수는 함수 정의에서 사용되는 변수이며, 함수 호출 시 전달되는 값을 받아들입니다.
인자는 함수를 호출할 때 실제로 전달되는 값으로, 매개변수와 일치하는 개수와 자료형을 가져야 합니다.
매개변수와 인자는 함수의 정의와 호출 사이에서 값을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합니다.
4. 함수의 반환값.
함수는 작업을 수행한 후 결과를 반환할 수 있습니다.
반환값은 함수 호출 시에 사용되며, 함수의 실행 결과를 받아올 수 있습니다.
반환값이 없는 경우에는 None이 반환됩니다. 아래는 반환값을 가지는 함수의 예시입니다.
def add(a, b):
return a + b
result = add(3, 5)
print(result)
# 8
5. 함수의 장점.
함수를 사용하는 것은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프로그램을 모듈화하는 데에 도움을 줍니다.
함수를 사용하면 코드를 더욱 간결하고 읽기 쉽게 작성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해집니다.
또한 함수를 통해 코드의 로직을 논리적으로 분리함으로써 테스트와 디버깅이 더욱 편리해집니다.
파이썬 함수는 코드의 재사용과 모듈화를 위한 핵심 도구입니다.
함수는 입력을 받아 작업을 수행하고 결과를 반환하는 독립적인 코드의 블록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함수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모듈화하고,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며, 작업을 논리적으로 분할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argument, 인수
1. Default argument (기본 인수)
- 함수를 정의할 때 파라미터의 설정된 기본 값을 `Default argument`라고 합니다.
- 함수를 호출할 때 파라미터에 값을 전달하지 않으면, 기본값이 사용됩니다.
- 함수를 호출할 때 파라미터에 값을 전달하면, 기본값은 무시되고 전달한 아규먼트가 사용됩니다.
- 주의 사항
- 함수를 정의할 때 `Default argument`를 갖는 파라미터들은 반드시 `Default argument`를 갖지 않는 파라미터들 뒤에 선언해야 합니다.
- 기본값을 갖지 않는 파라미터들을 먼저 선언하고, 그 다음에 기본값을 갖는 파라미터들을 선언해야 합니다.

파이썬은 중괄호가 없기때문에 코드를 쓰면, 무조건 내용을 만들어줘야합니다.

argument 전달 방법
- positional argument
- 함수 정의에서 선언된 파라미터 순서대로 아규먼트들을 전달하는 방법
- keyword argument
- `param=value` 형식으로 아규먼트들을 전달하는 방법.
- `keyword argument` 방식에서는 파라미터의 순서를 지키도 되고, 지키지 않아도 됩니다.
- 주의 사항
- 함수 호출할 때 `positional` 방식과 `keyword` 방식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positional argument`를 먼저 사용하고, `keyword argument`는 나중에 사용해햐 한다.
2. Variable-length argument (가변길이 인수)
- 함수를 호출할 때, 전달하는 `argument`의 개수가 임의로 변할 수 있는 것.
- 아규먼트를 전달하지 않아도 됩니다.
- 함수를 정의할 때 파라미터 이름 앞에 *를 사용하면 가변길이 인수를 전달받을 수 있습니다.
- 함수 내부에서 가변길이 인수는 튜플로 취급하면 됩니다.
- `for-in` 반복문 사용 가능합니다..
- `index` 사용 가능합니다.
- 주의 사항
- 가변길이 인수는 `keyword` 방식으로 전달할 수 없습니다. `f(x=1, x=2, x=3)`
- 함수를 정의할 때, 가변길이 인수를 갖는 파라미터는 오직 1개만 선언 가능합니다.


가변길이 인수 뒤에 파라미터가 있는 경우, 그 파라미터는 `keyword` 방식으로만 아규먼트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3. Variable-length keyword argument (가변길이 키워드 인수)
- 함수를 정의할 때 파라미터 이름 앞에 **를 붙입니다.
- 가변길이 인수
- 함수를 호출할 때 전달하는 아규먼트의 개수 제한이 없습니다.
- keyword argument
- 함수를 호출할 때 반드시 `param=value` 형식으로 전달해야 합니다.
- 함수 내부에서 가변길이 키워드 인수는 dict로 취급합니다.
- 함수 호출할 때 파라미터 이름은 아무렇게나 전달해도 됩니다.
- 가변길이 키워드 인수는 함수에서 1개만 사용 가능합니다.

잘못된 정보는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 15. 파이썬 내부 함수(Inner function) (0) | 2023.07.17 |
---|---|
Python - 14. 파이썬의 1급 객체(First-Class Object) (0) | 2023.07.16 |
Python - 12. 파이썬의 딕셔너리 (Dictionary) (0) | 2023.07.14 |
Python - 11. 파이썬의 집합(Set) (0) | 2023.07.13 |
Python - 10. 파이썬에서 2차원 리스트/튜플 활용하기 (0) | 2023.07.12 |
Funciton, 함수
파이썬은 강력한 프로그래밍 언어로서 함수(function)라는 핵심 도구를 제공합니다.
함수는 코드의 재사용과 모듈화를 가능하게 하여 개발자들에게 많은 이점을 제공합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파이썬 함수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고, 그 사용법과 장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함수의 개념.
함수는 입력을 받아서 어떤 일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반환하는 코드의 블록입니다.
함수는 코드를 논리적인 단위로 분할하여 작성하고,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여줍니다.
함수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는 독립적인 기능 단위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2. 함수의 정의.
파이썬에서 함수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def"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함수의 이름과 매개변수를 정의한 후에는 콜론(:)을 붙이고 들여쓰기로 함수의 내용을 작성합니다.
아래는 간단한 함수의 예시입니다.

3. 함수의 매개변수.
매개변수(Parameter)
매개변수는 함수 정의에서 사용되는 변수입니다.
함수가 호출될 때 전달되는 값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합니다.
매개변수는 함수 내에서 해당 값을 참조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함수를 정의할 때 매개변수를 선언하여 함수에 필요한 입력값의 개수와 종류를 명시합니다.
매개변수는 함수 내에서 변수로서 사용되며, 매개변수 이름은 개발자가 임의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은 `greet` 함수의 매개변수로 `name`을 가지는 예시입니다.
def greet(name):
print("Hello, " + name + "!")
위의 예시에서 `name`은 함수 `greet`의 매개변수입니다.
이 함수를 호출할 때 인자로 전달된 값을 `name` 매개변수가 받게 됩니다.
인자(Argument)
인자는 함수를 호출할 때 실제로 전달되는 값입니다.
인자는 함수 호출 시 매개변수에 전달되어 함수 내에서 사용됩니다.
함수 호출 시에 인자는 매개변수에 대응하여 전달되어야 합니다.
인자의 개수와 자료형은 함수의 매개변수와 일치해야 합니다.
다음은 `greet` 함수를 호출할 때 인자로 "Alice"를 전달하는 예시입니다.
greet("Alice")
위의 예시에서 "Alice"는 함수 `greet`의 인자입니다.
이 값이 함수의 매개변수 `name`에 전달되어 "Hello, Alice!"라는 결과가 출력됩니다.
요약하자면, 매개변수는 함수 정의에서 사용되는 변수이며, 함수 호출 시 전달되는 값을 받아들입니다.
인자는 함수를 호출할 때 실제로 전달되는 값으로, 매개변수와 일치하는 개수와 자료형을 가져야 합니다.
매개변수와 인자는 함수의 정의와 호출 사이에서 값을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합니다.
4. 함수의 반환값.
함수는 작업을 수행한 후 결과를 반환할 수 있습니다.
반환값은 함수 호출 시에 사용되며, 함수의 실행 결과를 받아올 수 있습니다.
반환값이 없는 경우에는 None이 반환됩니다. 아래는 반환값을 가지는 함수의 예시입니다.
def add(a, b):
return a + b
result = add(3, 5)
print(result)
# 8
5. 함수의 장점.
함수를 사용하는 것은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프로그램을 모듈화하는 데에 도움을 줍니다.
함수를 사용하면 코드를 더욱 간결하고 읽기 쉽게 작성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해집니다.
또한 함수를 통해 코드의 로직을 논리적으로 분리함으로써 테스트와 디버깅이 더욱 편리해집니다.
파이썬 함수는 코드의 재사용과 모듈화를 위한 핵심 도구입니다.
함수는 입력을 받아 작업을 수행하고 결과를 반환하는 독립적인 코드의 블록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함수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모듈화하고,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며, 작업을 논리적으로 분할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argument, 인수
1. Default argument (기본 인수)
- 함수를 정의할 때 파라미터의 설정된 기본 값을 `Default argument`라고 합니다.
- 함수를 호출할 때 파라미터에 값을 전달하지 않으면, 기본값이 사용됩니다.
- 함수를 호출할 때 파라미터에 값을 전달하면, 기본값은 무시되고 전달한 아규먼트가 사용됩니다.
- 주의 사항
- 함수를 정의할 때 `Default argument`를 갖는 파라미터들은 반드시 `Default argument`를 갖지 않는 파라미터들 뒤에 선언해야 합니다.
- 기본값을 갖지 않는 파라미터들을 먼저 선언하고, 그 다음에 기본값을 갖는 파라미터들을 선언해야 합니다.

파이썬은 중괄호가 없기때문에 코드를 쓰면, 무조건 내용을 만들어줘야합니다.

argument 전달 방법
- positional argument
- 함수 정의에서 선언된 파라미터 순서대로 아규먼트들을 전달하는 방법
- keyword argument
- `param=value` 형식으로 아규먼트들을 전달하는 방법.
- `keyword argument` 방식에서는 파라미터의 순서를 지키도 되고, 지키지 않아도 됩니다.
- 주의 사항
- 함수 호출할 때 `positional` 방식과 `keyword` 방식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positional argument`를 먼저 사용하고, `keyword argument`는 나중에 사용해햐 한다.
2. Variable-length argument (가변길이 인수)
- 함수를 호출할 때, 전달하는 `argument`의 개수가 임의로 변할 수 있는 것.
- 아규먼트를 전달하지 않아도 됩니다.
- 함수를 정의할 때 파라미터 이름 앞에 *를 사용하면 가변길이 인수를 전달받을 수 있습니다.
- 함수 내부에서 가변길이 인수는 튜플로 취급하면 됩니다.
- `for-in` 반복문 사용 가능합니다..
- `index` 사용 가능합니다.
- 주의 사항
- 가변길이 인수는 `keyword` 방식으로 전달할 수 없습니다. `f(x=1, x=2, x=3)`
- 함수를 정의할 때, 가변길이 인수를 갖는 파라미터는 오직 1개만 선언 가능합니다.


가변길이 인수 뒤에 파라미터가 있는 경우, 그 파라미터는 `keyword` 방식으로만 아규먼트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3. Variable-length keyword argument (가변길이 키워드 인수)
- 함수를 정의할 때 파라미터 이름 앞에 **를 붙입니다.
- 가변길이 인수
- 함수를 호출할 때 전달하는 아규먼트의 개수 제한이 없습니다.
- keyword argument
- 함수를 호출할 때 반드시 `param=value` 형식으로 전달해야 합니다.
- 함수 내부에서 가변길이 키워드 인수는 dict로 취급합니다.
- 함수 호출할 때 파라미터 이름은 아무렇게나 전달해도 됩니다.
- 가변길이 키워드 인수는 함수에서 1개만 사용 가능합니다.

잘못된 정보는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 15. 파이썬 내부 함수(Inner function) (0) | 2023.07.17 |
---|---|
Python - 14. 파이썬의 1급 객체(First-Class Object) (0) | 2023.07.16 |
Python - 12. 파이썬의 딕셔너리 (Dictionary) (0) | 2023.07.14 |
Python - 11. 파이썬의 집합(Set) (0) | 2023.07.13 |
Python - 10. 파이썬에서 2차원 리스트/튜플 활용하기 (0) | 2023.07.12 |